기독교 교리
제1강 서론과 종교(질문과 해설)
1.교리 공부를 왜 해야 하는가. 필요성
1)탈 교리 시대 : 감정으로/ 프로그램/ 도덕으로(행위)
2)어렵다고 안 배우는 시대 : 딱딱하다. 은혜가 안 된다.
3)이단에 대한 예방
4)바른 교회를 위한 건전한 기초 확립.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2.교리 공부의 유익이 무엇인가
1)성경을 이해. 전체적으로. 알차게.
2)신앙고백을 바로 함. 흔들리지 않고 넘어지지 않는 교인.
3)기독교 윤리와 실천을 확고하게 함.
3.교리의 체계
1)순서 : 서론(성경론)/ 신론/인간론/기독론/구원론/교회론/종말론
2)성경강해는 성경을 순서대로 나열하나, 교리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진술한다.
4.왜 사람들은 종교를 갖는가.
1)종교의 씨를 갖고 있다.
2)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다.
3)바른 종교를 갖는가. 이것이 문제이다.
4)하나님의 축복이다. 우상숭배나 나쁜 종교를 가지면 심판을 받거나 손해를 본다.
5)종교는 생각과 행동과 사회까지 영향을 미친다.
5.참된 종교란 무엇인가(내용)
1)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인간의 지식으로 구성된다.
2)하나님의 능력과 위엄을 알고 인간의 무기력과 무가치를 아는 것이다.
3)하나님에 대한 의식적이고 자발적인 관계이다. 예배와 봉사로 표현된다.
4)예배와 봉사는 인간의 맘대로가 아니라 하나님에 의해 결정된다.
6.역사적으로 종교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1)구약은 여호와를 경외함으로, 신약에서는 복음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다.
2)중세에는 외형주의로 흘렀고, 종교개혁시대는 하나님과 영적 교제를 회복했으나 근세에는 주관주의로 흐르기도
했다. 현대에는 세속주의 인본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7.종교의 자리는 어디인가
1)지식 : 주지주의. 철학과 이성에 빠진다.
2)감정 : 주관주의나 체험주의에 빠진다.
3)의지 : 도덕적 활동이나 행동주의에 빠진다. 도덕과 신앙이 뒤 바뀐다.
4)마음 : 지식이나 감정이나 의지가 아니라 마음이다. 지정의를 다 포함하는 인격이다.
8.종교의 기원은 어디인가
1)역사적 방법 : 역사적으로 발전했다.
2)심리적 방법 : 심리에서 기인한다.
3)신학적 방법 :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아서 종교를 가질 수 있다.
번호 | 제목 | 조회수 |
---|---|---|
공지 | 강의 소개와 목차 (강의안 인쇄용 첨부) | 324 |
18 | 제17강 부활, 마지막 심판 그리고 최후의 상태 60 | 647 |
17 | 제16강 그리스도의 재림과 쳔년왕국 59 | 503 |
16 | 제15강 육체의 죽음과 중간기 상태와 재림 60 | 588 |
15 | 제14강 기독교 성례 63 | 530 |
14 | 제13강 교회행정과 성례 [기독교교리 3] ↑ 64 | 555 |
13 | 제12강 교회의 성격과 행정 66 | 565 |
12 | 제11강 구원의 서정(회심,칭의,성화,성도의 견인) 66 | 782 |
11 | 제10강 일반은총과 구원의 서정(소명과 중생) 68 | 570 |
10 | 제9강 그리스도의 직무와 속죄 69 | 581 |
9 | 제8강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기독교교리 2] ↑ 70 | 594 |
8 | 제7강 은혜 언약 75 | 602 |
7 | 제6강 인간에 대한 지식 77 | 609 |
6 | 제5장 창조와 섭리 76 | 631 |
5 | 제4강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작정 81 | 664 |
4 | 제3강 하나님의 이름과 속성 90 | 695 |
3 | 제2강 계시와 성경 93 | 495 |
2 | 제1강 종교와 계시 [기독교교리 1] ↑ 93 | 69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