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제11강 구원의 서정(회심,칭의,성화,성도의 견인)
회심(회개와 믿음)
1.일반적인 회심
1)중생한 사람에게 의식적인 생활에서 회개와 믿음을 나타내는 하나님의 역사를 말한다.
2)하나님은 회심의 주체이나 성령의 특별한 역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3)중생은 하나님의 단독적 역사이나 회심은 하나님이 주시는 힘으로 협력한다.
4)회심은 성화와 달리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고, 중생과 달리 의식한다.
5)성경의 예 : 나아만(왕하5:15), 므낫세(대하33:12), 삭개오(눅19:8-9), 고넬료(행10:44), 바울(행9:5), 루디아(행16:14) 등등
6)국가적인 회심(욘3:10)도 있고, 일시적인 회심(마13:20-21;히6:4-6) 도 있다.
2.회개(회심의 부정적인 요소)
1)과거를 돌아보아, 죄에서 돌이켜 의식적인 변화를 말한다.
2)지적, 정적, 그리고 의지적인 요소가 있다.
3)로마교: 회개의 외부적인 것을 많이 강조한다. 신부에게 고해성사하고 금식이나 순례 등의 고행으로 회개한다. 그러나 성경은 회개는 내적인 것이라고 한다.
3.믿음(회심의 긍정적인 요소)
1)회개가 과거를 보는 것이라면 믿음은 앞을 보는 것이다.
2)여러 종류의 믿음
*역사적인 믿음: 단지 역사적인 사실을 믿는다. 고고학자도 이런 믿음을 갖는다(행26:27,28)
*일시적인 믿음: 일시적으로 감동받는다. 그러나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마13:2,21)
*이적을 믿음: 구원에 이를 수도 있으나, 무당이나 마술사도 갖는 믿음(마17:20/행14:9,10).
*구원에 이르는 믿음: 성령으로 인해 우리 마음에 긍정적인 확신 곧 ,복음의 진리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약속을 의지하는 믿음이다. 가장 중요한 믿음이다(요6:40).
3)믿음의 요소
*지적인 요소: 하나님의 언약에 근거해서 진리와 사실을 안다.
*정적인 요소 : 동의한다. 진리는 영혼을 사로잡는다.
*의지적인 요소: 그리스도를 구주로 신뢰한다. 구원의 언약을 실천한다.
4)믿음의 확신
*알미니안(감리교)은 하나님의 자녀임을 믿으나 그것이 궁극적인 구원을 보장하지 않는다.
*개혁파 : 그 사람의 상태가 수시로 달라질 수 있으나 궁극적인 구원을 믿는다. 기도와 묵상으로, 참된 신자의 삶으로 확신을 개발해야 한다.
칭의
1.칭의
1)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근거로 죄인을 의롭다고 선포하는 하나님의 법적인 행위이다.
2)상태가 아니라 위치(지위)를 말한다. 성화와 다르다.
3)사람의 밖, 곧 하나님의 법정에서 일어나며, 죄책을 제거하는 단회적인 행위이다. 반면 성화는 사람 안에서 일어나며, 죄의 오염을 제거하는 일생 동안 계속되는 과정이다.
2.칭의의 요소
1)그리스도의 의에 근거한 죄의 용서(과거와 현재와 미래까지 포함한다)이다. 죄의식은 남기 때문에 죄사함의 확인이 필요하다(마6:12/ 요일1:9/시25:7).
2)양자 : 하나님의 자녀로 양자한다(롬8:17; 벧전1:4). 자녀의 모든 권리와 상속권을 준다. 법적인 아들 됨과 중생과 성화를 통해 얻는 윤리적인 아들 됨은 다르다.
3.칭의는 언제 이루어지는가?
1)시간 전 영원부터의 칭의인가? 하나님의 구원 경륜은 영원 전부터이다. 그러나 우리가 다루는 칭의는 시간과 역사 속에서 이루어진 칭의를 말하는 것이다.
2)부활하신 그리스도 안에서 칭의인가? 이것은 칭의의 객관적 근거이다. 그러나 우리가 말하는 칭의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적용의 칭의를 말한다.
3)믿음으로 의롭다함 : 믿음으로 예수님을 영접할 때 이루어진다(롬3:24;고후5:21;빌3:19).
*로마교: 상속받은 원의(original Righteousness)로 의롭다함을 받는다고 한다.
*알미니안: 자신의 믿음을 근거로 칭의를 받는다고 한다.
4)칭의 교리에 대한 반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대가로 받는 것이기에 은혜가 아니라 공로에 근거한 것이다..
*죄인을 의롭다고 선포하는 것이 모순이라고 한다.
*일상의 도덕적인 생활을 게으르게 만든다고 한다.
성화의 성도의 견인
1.성화의 성격
1)성화는 은혜롭고 지속적인 성령의 역사로 죄인을 정결케 하고,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며, 선한 일을 행하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이다.
2)칭의와 달리 법적인 것이 아니라 성도의 내적 삶에서 이루어지며, 오랜 기간을 통해 이어지며, 이 세상에서는 결코 완전한 성화는 되지 않는다. 성도의 협력이 필요하다. 유혹이나 시험에 들지 말도록 경고하는 근거이다(고전6:9;롬12:9,16;갈5:16-23).
3)성화는 하나님이 주신 새 생명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새 생명을 증진시킨다.
4)죄를 깨끗케 하는 것과, 하나님께 더욱 헌신하는 면에서 성화가 이루어진다.
2.성화의 불완전
1)세상에서 성화는 완전할 수 없다. 성도라 할지라도 영과 육은 계속적으로 갈등하며(롬7:14;요9:3), 여전히 죄를 고백한다(시51:1). 더욱 성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롬7:7-26).
2)완전성화를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 요이 죄가 없다 하거나 죄 아래 살고 있지 않다고 말한다면 스스로 속이는 것이라고 했다(요일1:8).
3.성화와 선행
1)선행은 성화의 열매이다
2)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을 믿음으로 나온 선행이다.
3)하나님의 드려낸 뜻과 일치한다.
4)하나님의 영광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5)일반은혜로 인한 선행은 외적으로만 율법과 일치하며 결국 율법에 순종하지 않음.
4)로마교는 선행을 구원받는데 필요한 공로로 생각하고, 반 율법주의자는 선행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는다.
4.성도의 견인
1)신자들의 구원을 계속 보존하여 완전에 이르게 하는 성령의 계속적인 역사이다.
2)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있는가? 그렇다. 성경이 배교라든지 타락을 말하는 것(히2:1; 10:26)은 경고이지 구원의 불확실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성도의 견인은 하나님의 역사이도 노력해야 하는(골1:23;히3:14) 하나님의 역사이다.
번호 | 제목 | 조회수 |
---|---|---|
공지 | 강의 소개와 목차 (강의안 인쇄용 첨부) | 323 |
18 | 제17강 부활, 마지막 심판 그리고 최후의 상태 60 | 647 |
17 | 제16강 그리스도의 재림과 쳔년왕국 59 | 503 |
16 | 제15강 육체의 죽음과 중간기 상태와 재림 60 | 588 |
15 | 제14강 기독교 성례 63 | 530 |
14 | 제13강 교회행정과 성례 [기독교교리 3] ↑ 64 | 555 |
13 | 제12강 교회의 성격과 행정 66 | 565 |
12 | 제11강 구원의 서정(회심,칭의,성화,성도의 견인) 66 | 782 |
11 | 제10강 일반은총과 구원의 서정(소명과 중생) 68 | 570 |
10 | 제9강 그리스도의 직무와 속죄 69 | 581 |
9 | 제8강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기독교교리 2] ↑ 70 | 594 |
8 | 제7강 은혜 언약 75 | 602 |
7 | 제6강 인간에 대한 지식 77 | 609 |
6 | 제5장 창조와 섭리 76 | 631 |
5 | 제4강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작정 81 | 664 |
4 | 제3강 하나님의 이름과 속성 90 | 694 |
3 | 제2강 계시와 성경 93 | 495 |
2 | 제1강 종교와 계시 [기독교교리 1] ↑ 93 | 68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