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의 집

청지기 세미나 2022

제5강 권징조례(대한예수교장로회 헌법)
2022-07-13 18:04:32
관리자
조회수   143

5강 권징조례

 

 

1.권징의 목적은 무엇인가?

1)진리를 보호하고

2)악행을 제거하고 교회를 정결하게 하며, 덕을 세우고

3)범죄한 자의 신령적 유익을 도모한다.

 

2.권징에서 말하는 범죄란 무엇인가?

1)교인, 직원, 치리회를 불문하고 교훈과 행위가 성경에 위반되는 것

2)사정이 악하지 아니할지라도 다른 사람으로 범죄케 한 것

3)덕을 세움에 방해되는 것이 범죄이다.

 

3.재판 안건을 기록하라.

1)성경에 위반으로 준거할 만한 일

2)성경에 의하여 제정한 교회 규칙과 관례에 위반되는 일

3)다른 권징 조례로 금지하는 일

 

4.재판건과 행정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재판건 : 교인이나 직원에 대하여 범죄 사건으로 소송하면 재판건

*행정건 : 재판건 외의 모든 것

 

5.고소란 무엇인가? 책벌을 구하는 소송

*누가 범죄하였다는 말만 있고 소송하는 원고가 없으면 재판을 열 필요가 없다.

*, 권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치리회가 원고로 기소할 수 있다.

 

6.원고는 먼저 피고인과 화목하라(18:15-17).

*9: 누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되었다 하여 소송할 때에 치리회는 그 원고로 하여금 마태복음18:15-17절에 있는 주님의 교훈에 의하여 먼저 피고인과 화목하게 하여 볼 동안에는 재판을 열지 말 것이다.

*18:15: 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가서 너와 그 사람과만 상대하여 권고하라. 만일 들으면 네가 네 형제를 얻은 것이요

*16: 만일 듣지 않거든 한두 사람을 데리고 가서 두세 증인의 입으로 말마다 확증하게 하라.

*17: 만일 그들의 말도 듣지 않거든 교회에 말하고 교회의 말도 듣지 않거든 이방인과 세리와 같이 여기라.

 

7.소송을 접수할 때 신중하라.

*14조 다음에 해당한 자의 제기하는 소송을 접수하려 할 때에는 신중히 고려함이 옳다.

1)평소에 피고에게 대하여 혐의가 있는 자

2)성격이 불량한 자

3)재판 혹은 처벌 중에 있는 자

4)피고의 처벌을 인하여 이익을 얻을 자

5)소송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는 자

6)지각이 부족한 자

 

8.고소장에 죄증설명서에 기록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

*고소장에 죄상을 밝히 기록하고

*죄증설명서에는 범죄의 증거, 범죄의 날짜, 범죄의 장소, 범죄의 상황, 증인의 성명을 기록한다.

 

9.당회가 재판회로 모였을 때 회무 작성법을 설명하라.

*증인을 심문한다.

*증인의 말을 청취한 후에 원고 피고가 진술한다.

*치리회는 즉시 원고 피고와 변호인과 방청인을 퇴석하게 하고 비밀회를 연다.

*치리회원만 합의한다.

*고소장과 설명서의 각 조에 대하여 일일이 가부 결정한다.

*안건 전부에 대하여 결정하고 그 최후 결정은 회록에 기록한다.

 

10.치리회가 재판회로 변경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하라.

*회장이 이유를 설명하고 소장을 낭독한 후 공포하면 재판회가 된다.

11.원피고와 증인 등을 처음 소환하는 방법은 어떠한가?

*10일 이상의 기간을 두고

*소환장은 후일 송달증서가 남도록 배달증명 혹 등기우편

*피고에게 고소장과 죄증설명서를 각 1통씩 소환장에 동봉한다.

 

12.재판의 진행 절차를 말하라.

*증인 심문 *반증 증인심문 *원피고 진술 *회원비밀회 *합의회 *소장대로 유무죄 조별 가부 표결 *최종결정

 

13.어떤 경우에 즉결 처단할 수 있는가?

*치리회 석상에서 범죄사건 *타처에서 범죄한 것을 본인이 자복했을 경우

 

14.당회가 정하는 책벌은 무엇인가

1)권계 2)견책 3)정직 4)면직 5)수찬정지

6)제명 7)출교

 

15.목사를 면직할 만한 죄를 말하라.

*이단을 주장하거나

*불법으로 교회를 분립하는 행동

 

16.당회나 노회에서 처리한 사건을 각기 차서에 의하여 상회에 상소하는 방법.

*검사와 교정 *위탁판결 *소원 *상소

 

17.소원이란 무엇인가?

*하회 관할에 속하여 치리권에 복종하는 자 중 행정 사건에 대하여 하회가 그 책임을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위법한 행동이나 결정에 대하여 변경을 구하는 것

 

18.고소, 상소는 어떻게 다른가?

*고소 : 처음 재판을 받을 때 책벌 요구

*상소 : 항소는 2심을, 상고는 3(최종심)을 말한다.

 

19.상소를 분류하고 약술하라.

*검사와 교정 : 상회가 하회록을 검사하여 교정하는 것

*위탁판결 : 하회 관할 재판 사건을 하회 형편상 판결을 위탁하거나 그 준비 자료를 상회에 위탁

*소원 : 관할 치리회의 행정 절차에 대하여 상회에 변경을 요구하거나, 혹은 관할 치리회의 행정 처결을 상회에 촉구하는 행정 소송

*상소 : 관할 치리회의 판결에 대하여 상회에 취소나 변경을 구하는 송사.

 

20.판결문이란 무엇인가?

*고소나 상소 등 책벌 요구에 대한 재판회의 최후 결정

 

21.결정서는 무엇인가?

*행정 처결의 촉구, 변경, 취소 등을 요구하는 소원에 대한 최후 결정

 

22.각 재판국의 조직을 기록하라.

*당회 재판

*노회의 재판국 : 7인 이상으로 하되, 목사가 과반이 되도록

*대회 재판국 : 목사 5, 장로 4인으로 하되 연조제를 매년 1/3씩 개선한다.

*총회 재판국 : 목사 8, 장로 7인으로 하되 한 노회에서 2인 초과를 금하고, 국원은 상비위원으로 나누어 매년 5인씩 개선한다.

 

23.재판국의 절차를 쓰라

*고소, 고발장 및 죄증 설명서 낭독

*기소 이유 설명

*원고 및 피고 심문

*증거 조사 및 증인의 채택과 심문

*변론

*판별.

 

 

댓글

송우순 2022-11-28 10:57:05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서는 권징이 필요 합니다.
정복훈 2022-12-23 15:11:00
감사합니다
김은임 2023-02-02 02:16:27
신앙의 경주를 잘하고 교회의 권위를 소중히 여기는 신앙인이 되길 원합니다
방순희 2023-09-09 09:26:13
감사합니다
김혜선 2023-12-28 18:07:06
교회는 말씀선포,성례,권징이 있어야 한다. 십자가만 있다고 다 교회가 아니다. 성경에 위반되는 행위가 있다면 권징이 필요하다. 교회 규칙을 잘 이행하는 성도 되겠습니다.
송원희 2025-02-25 21:21:49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