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공과
감사한 한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이다(누가복음17;11-19)
예수님이 나병환자 열 명을 고쳤습니다. 얼마나 고맙고 감사한 일입니까? 피부가 아이와 같이 깨끗하게 회복되었습니다. 부정한 병으로 성 밖으로 격리된 생활도 끝나고 이제 가정과 사회로 돌아왔습니다. 나병은 하나님의 저주의 상징입니다. 이제 예배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의 보좌 앞에 나갈 수 있습니다. 이같이 큰 은혜를 받았으니 크게 감사할 일입니다. 아 하나님의 은혜로 이 쓸데 없는 자. 왜 구속하여 주는지 난 알 수 없도다. 구원받은 것도 감사하고, 구원 후에 모든 것을 주신 것도 감사합니다.
그런데 돌아와 예수님께 감사한 사람은 한 사람입니다. 열 명 중에 한 사람만 감사했습니다. 그 한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입니다. 유대인들이 개 취급하는 이방인입니다. 가장 은혜 받을 수 없는 사람이 은혜를 받고, 감사할 수 없는 사람이 감사합니다. 그 한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입니다.
나머지 아홉은 제사장에게 자신의 몸이 깨끗해진 것을 보이기 위해 갔습니다. 은혜는 예수님께 받았는데 제사장에게 가고 있습니다. 열 명이 고침을 받았는데 아홉은 제사장에게 가고 있습니다.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집으로 가고 있습니다. 내가 좋아서 나의 기쁨을 누리기 위해 가고 있습니다. 고침 받은 아홉은 어디 있느냐? 예수님이 감사할 줄 모르는 아홉을 책망하십니다. 은혜 받은 사람은 많아도 감사하는 사람은 한 사람 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감사하는 사람 되기 원합니다. 감사하는 한 사람, 그 사마리아 사람 되기 원합니다. 나병을 치유 받는 믿음이 귀합니다. 그리고 그 은혜를 감사하는 것은 더 귀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에돔 길을 우회하다가 힘들다고 하나님을 원망했습니다. 불뱀이 몰려와서 이스라엘 백성을 물어서 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 길이 험해서 죽은 것 아니고, 먹을 것 없어서 죽은 것 아닙니다. 전쟁에 패해서 죽은 것도 아닙니다. 하나님을 원망하다가 불뱀에 물려 죽었습니다. 은혜 받는 것보다 받은 은혜 감사합시다.
하나님이 천사에게 두 개의 바구니를 주셨습니다. 하나는 감사의 바구니이고, 다른 하나는 기도의 바구니입니다. 기도의 바구니는 가득 찼지만 감사의 바구니는 비었습니다. 달라 달라 기도는 열심히 하는데, 기도 응답에 감사는 인색합니다.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다니엘은 기도한 죄로 사자굴에 던져졌습니다. 그 날도 감사함으로 기도했습니다. 감사의 기도, 감사의 예배, 감사의 예물이 귀합니다.
감사가 없으면 사막입니다. 감사가 있으면 사막도 푸른초원입니다. 감사가 없으면 죽음이고, 감사가 없으면 저주입니다. 마귀는 아무리 많은 것을 주어도 감사할 줄 모릅니다. 늘 불평하고 원망합니다. 죄 중의 죄가 불신앙이고, 불순종이고, 감사하지 않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으면 순종하고, 감사합니다.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먹을 것이 없으며 우리에 양기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라(하박국3:17-18절).
바울은 말씀의 능력이 있습니다. 신유의 은사도 있습니다. 바울은 순교합니다. 이 모든 것 위에 감사가 넘칩니다. 나를 능하게 하신 그리스도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를 충성 되이 여겨 내게 직분을 맡기심이니(딤전1:12). 손양원 목사님은 나병환자를 돌보는 사랑의 목자입니다. 신사참배를 반대하다가 옥고를 치릅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두 아들 동인이와 동신이의 장례식에서 아홉가지를 감사합니다. 미국보다 더 좋은 천국 가게 하신 것 감사. 두 아들이나 순교하게 하신 것 감사. 두 아들을 죽인 원수 안재선을 양아들 삼을 마음 주심을 감사....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17절). 왜 아홉은 감사하지 않았습니까? 왜 한 사람 사마리아 사람은 돌아와 감사했습니까? 받은 바 은혜에 대한 반응이 다른 때문입니다. 나병을 고친 아홉은 제사장에게 가서 자신의 깨끗한 몸을 보이는 것이 우선입니다. 부정한 병이 치유된 것을 제사장이 확인해야 집으로 돌아가고 하나님께 예배할 수 있습니다. 나 중심입니다. 나를 위합니다. 돌아와 감사한 사람은 나병의 치유에 집중합니다. 기적이다. 내 몸이 깨끗해졌다. 예수님이 나를 고쳤다. 단순합니다. 제사장이나 율법의 정결법이나 이런 것은 생각이 안 납니다. 나병의 치유. 예수님의 은혜에 감사합니다.
제사장이냐 예수님이냐? 예수님입니다. 율법이냐 받은 은혜냐? 은혜입니다. 유대교냐 그리스도인이냐? 그리스도입니다. 할례냐 예수의 흔적이냐?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과 죽음입니다. 우리는 나병을 고치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라 이미 고침을 받았습니다. 나병 고친 것을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 아니라 고침 받은 것으로 감사함이 우선입니다. 우리는 구원받으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라 이미 구원받았습니다. 우리는 은혜를 받으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은혜를 받았습니다. 제사장 보다 예수님, 율법보다 은혜가 우리를 압도합니다. 나 위하여 십자가에. 중한 고통 받으사. 대신 죽은 주 예수의 사랑하신 은혜여. 보배로운 피를 흘려 영영 죽을 죄에서 구속함을 얻은 우리 어찌 찬양 안할까...(이병각 목사)
나눔1 : 나병환자 열 명이 고침을 받았습니다. 돌아와 예수님께 감사한 사람은 한 사람입니다. 그 한 사람은 유대인이 아니라 사마리아 사람입니다. 은혜 받은 사람은 많아도 돌아와 감사하는 사람은 적습니다. 감사하는 사람은 당연히 감사할 사람이 아니라 기대하지 않은 사마리아 사람입니다. 2025년 상반기를 살면서 받은 바 은혜가 무엇입니까? 감사합니까?
나눔2 : 고침 받은 사람 중에 아홉은 제사장에게 자기 몸을 보이기 위해 갔습니다. 그러나 한 사람은 나병을 고쳐주신 예수님께 돌아와 감사합니다. 제사장에게 가는 사람은 율법의 정결법이 우선이고, 예수님께 돌아와 감사한 사람은 은혜에 대한 감사가 우선입니다. 경건의 모양이냐 경건의 능력이냐? 종교인이냐 그리스도인이냐? 율법이냐 은혜냐? 내가 우선이냐? 예수님이 우선이냐? 은혜에 대한 감사합니다. 받을 수 없는 은혜에 대한 감사입니다. 바울에게는 말씀의 은사도 있고, 신유의 은사도 있고, 순교의 은사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 위에 감사가 있습니다. 그리스도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공지 | 셀 보고서 양식 | 2019-03-12 | 524 |
851 | <8월 3일> 여호와께서 기근의 때에도 복을 주셨다(창세기26:12-14) | 2025-08-01 | 10 |
850 | <7월 27일> 하나님의 말씀대로 하였더니 기적의 양식을 얻었다(열왕기상17:8-16) | 2025-07-25 | 21 |
849 | <7월 20일>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라(히브리서12:1) | 2025-07-17 | 21 |
848 | <7월 13일> 마귀가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 자를 찾는다(벧전5:8-9) | 2025-07-11 | 25 |
847 | <7월 6일> 감사한 한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이다(누가복음17;11-19) | 2025-07-05 | 29 |
846 | <6월 29일> 지난날 주신 은혜를 기억하라(민수기21:4-6) | 2025-06-20 | 40 |
845 | <6월 22일> 하나님께 소망을 두라(시편42:1-5) | 2025-06-20 | 33 |
844 | <6월 15일> 장년의 힘1(천사와 씨름하는 기도/창세기32:29-31) | 2025-06-13 | 43 |
843 | <6월 8일> 성령의 능력을 받아라(열왕기하2:8-9) | 2025-06-05 | 49 |
842 | <6월 1일> 나단이 책망하고 다윗이 회개한다(삼하12:7-9;13) | 2025-05-31 | 48 |
841 | <5월 25일> 마음은 따뜻하고 행동은 바르게2(신명기6:4-9) | 2025-05-23 | 57 |
840 | <5월 18일> 복 받는 집1(선하고 지혜롭다/삼상25:14-17) | 2025-05-16 | 57 |
839 | <5월 11일> 네 부모를 공경하라2(실천/ 룻기2:1-7> | 2025-05-09 | 75 |
838 | <5월 4일> 우리집 가훈(하나님을 사랑하고 예배드린다/신명기6:4-5) | 2025-05-01 | 73 |
837 | <4월 27일> 부활을 믿는 성도의 삶(능력과 거룩함/고린도후서1:8-10) | 2025-04-26 | 69 |
댓글